안내
확인
U
회원관리
로그인
가입
찾기
회원아이디
패스워드
로그인유지
회원아이디
이름
이메일
휴대폰번호
패스워드
패스워드 재입력
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
회원이용약관 보기
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
본인 이름 입력
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
각 나라 흥망성쇠 <9/10권>
판권 페이지
항덕원(恒德園)
|
황효상(黃孝相)
|
2013-12-10
48
읽음
0
0
0
2 / 100 목차보기
이전
2 / 100 목차
다음
로그인
회원가입
항
항덕원 페이퍼
속표지 페이지
판권 페이지
18-12. 고려(高麗) 역사와 멸망에 대하여
▣ 마키아벨리의 저술 군주론(君主論)에 대하여
▣ 고려(高麗) 역대왕조(歷代王朝): 34대 총 재위는 475년간이다
▣ 고려 태조 왕건(王建)에 대하여
▣ 시무이십팔조(時務二十八條)와 구주대첩=귀주대첩(龜州大捷)에 대하여
▣ 고려 6대 성종 때 육정육사(六正六邪)에 대하여
▣ 고려 8대 현종 때 강감찬(姜邯贊)장군의 구주대첩=귀주대첩(龜州大捷)에 대하여
▣ 고려 11대 문종(文宗) 때 대각국사(大覺國師) 의천(義天)에 대하여
▣ 금강경(金剛經)에 대하여
▣ 고려 15대 숙종과 16대 예종 때 윤관(尹瓘)의 여진정벌과 동북 9성에 대하여
▣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민족역사의 업적이냐 민족역사를 왜곡한 대범죄자냐?
▣ 고려 18대 의종(毅宗) 때 정중부(鄭仲夫)의 난과 무신시대(武臣時代)에 대하여
▣ 고려 19대 명종 때 최충헌과 그의 아들 최우=최이와 고려대장경에 대하여
▣ 고려 25대 충렬왕 때 삼국유사(三國遺事)와 제왕운기(帝王韻紀)에 대하여
▣ 제왕운기(帝王韻紀) 총평(總評)에 대하여
▣ 고려의 칠대실록(七代實錄)과 고려 25대 충렬왕 때 익재(益齋) 이제현(李齊賢)에 대하여
▣ 영남(嶺南)의 성리학(性理學) 계열(系列)에 대하여
▣ 유렵의 백년전쟁에 프랑스의 소녀영웅 잔 다르크와 페스트의 역사에 대하여
▣ 고려 말 31대 공민왕 때 진역유기와 단군세기와 북부여기의 역사서에 대하여
▣ 단군세기(檀君世紀)와 태백진훈(太白眞訓)과 농상집요(農桑輯要)에 대하여
▣ 고려 31대 공민왕 때 북부여기(北夫餘紀)를 편찬한 범장(范樟)=범세동(范世東)에 대하여
▣ 정지상(鄭之祥)과 그의 아들과 박위(朴?)의 대마도(對馬島) 정벌(征伐)에 대하여
▣ 역사(歷史)가 말하는 3차 대마도정벌(對馬島征伐)에 대하여
▣ 고려 32대 우왕 때 위화도(威化島)회군과 이성계의 역성혁명에 대하여
▣ 이성계 아들 이방원의 하여가(何如歌)와 정몽주의 단심가(丹心歌)에 대하여
▣ 고려의 마지막 두문동(杜門洞)72현 선비들의 은거한 동네에 대하여
▣ 고려시대(高麗時代)에 지은 주요한 사서(史書)에 대하여
18-13. 조선(朝鮮)나라 역사와 멸망(滅亡)과 일제괴광기(日帝怪狂期)=일제강점기 에 대하여
▣ 조선 역대왕조(朝鮮 歷代王朝): 27대 총 재위는 519년간이다
▣ 이성계(李成桂)에 대하여
▣ 조선 태조 때 사대문(四大門)에 대하여
▣ 김시습(金時習)과 금오신화(金鰲新話)에 대하여
▣ 조선 4대 세종대왕(世宗大王) 때 한글 즉 훈민정음(訓民正音)에 대하여
▣ 강태공(姜太公)의 육도삼략(六韜三略)의 병법(兵法) 중 오음(五音)과 한글의 오음(五音)에 대하여
▣ 조선 10대 연산군 때부터 일어난 사대사화(四大士禍)에 대하여
▣ 조선 13대 명종 때 이언적과 양동마을에 대하여
▣ 조선 14대 선조 때 류성룡과 하회(河回)마을에 대하여
▣ 조선의 성리학에 대한 사단칠정과 이기이원론과 이기일원론에 대하여
▣ 이황(李滉)의 성학십도 해설(聖學十圖 解說)에 대하여
▣ 조선 14대 선조(宣祖) 때 토정(土亭) 이지함(李之?)에 대하여
▣ 설=설날=정월(正月)=원단(元旦)=연시(年始)에 대하여
▣ 조선 13대 명종 때 남사고비결=격암유록=천강비서에 대하여
▣ 동인 서인 남인 북인 대북 소북 노론 소론 벽파 시파에 대하여
▣ 조선 11대 중종 때 황진이와 피차일반(彼此一般)과 피차상생(彼此相生)에 대하여
▣ 이황(李滉)과 이이(李珥)의 성리학(性理學) 대조표(對照表)에 대하여
▣ 서산대사와 사명당의 구국지책(救國之策)과 이이의 십만양병설(十萬養兵說)에 대하여
▣ 임진전쟁(임진왜란) 때 한산도대첩과 이치대첩(梨峙大捷)에 대하여
▣ 충무공(忠武公) 이순신(李舜臣)의 전투 중 칠천양(漆川梁)에 대하여
▣ 이순신(李舜臣)과 노적봉(露積峰)에 대하여
▣ 징비록(懲毖錄) 자서(自序)와 운주당(運籌堂) 운영에 대하여
▣ 조선 14대 선조 때 임진전쟁(임진왜란)을 승리로 이끈 한 분야인 논개에 대하여
▣ 유몽인(柳夢寅)인의 저서 어우야담(於于野談)에서 지존(至尊)에 대하여
▣ 조선 14대 선조 때에 사명당(四溟堂)과 덕천가강(德川家康)의 강화담판에 대하여
▣ 에스파냐(스페인)의 작가 세르반테스의 풍자소설 돈키호테 라는 문학에 대하여
▣ 조선 14대 선조 때 오성(鰲城) 이항복(李恒福)과 한음(漢陰) 이덕형(李德馨)에 대하여
▣ 조선 15대 광해임금(광해군) 때 허준의 동의보감(東醫寶鑑)에 대하여
▣ 조선 16대 인조반정과 정묘호란과 병자호란과 대원군(大院君)의 명칭에 대하여
▣ 예송논쟁(禮訟論爭)과 장희빈(張禧嬪)에 대하여
▣ 조선 19대 숙종 때 규원사화(揆園史話)의 역사서에 대하여
▣ 단군왕검을 시조로 하여 단군조선사(檀君朝鮮史)의 총재위기간에 대한 총평에 대하여
▣ 조선 21대 영조 때 편찬한 아주 귀중한 동사강목(東史綱目)의 역사서에 대하여
▣ 조선 22대 정조 때와 그 후 편찬한 주체적인 동사(東史)의 역사서에 대하여
▣ 조선 22대 정조(正祖) 때 발해고(渤海考)의 역사서에 대하여
▣ 조선 23대 순조 때 유럽의 영국의 영웅 웰링턴의 역사에 대하여
▣ 조선 23대 순조 때와 25대 철종 때 추사(秋史) 김정희(金正喜)에 대하여
▣ 조선 26대 고종 때 이제마(李濟馬)에 대하여
▣ 조선 26대 고종 때 운요호=운양호사건(雲揚號事件)에 대하여
▣ 운요호=운양호사건 이후 강화도조약=병자수호조약(丙子修護條約)에 대하여
▣ 조선 26대 고종 때 녹두장군 전봉준의 동학농민혁명(東學農民革命)에 대하여
▣ 임오군란과 갑신정변과 태극기와 청일전쟁과 을미사변과 러일전쟁과 독도(獨島)에 대하여
▣ 조선 26대 고종 때 이육사(李陸史)의 조국광복(祖國光復)의 염원(念願)에 대하여
▣ 조선 26대 고종 때 을사늑약(乙巳勒約)=을사늑결(乙巳勒結)=을사조약에 대하여
▣ 고종과 조선 마지막 27대 순종 때 정미년(丁未年)에 정미짐승조약에 대하여
▣ 조선 고종 때와 마지막 27대 순종(純宗) 때에 안중근(安重根) 의사(義士)에 대하여
▣ 한일광합병(韓日狂合?)=괴광합병(怪狂合?)=한일합병(韓日合倂) 당일 조약 과정에 대하여
▣ 일제괴광기(日帝怪狂期)=일제강점기 1년 때 은사금(恩賜金)에 대하여
▣ 고귀한 4개 역사서를 하나로 모은 한단고기=환단고기(桓檀古記)의 역사책에 대하여
▣ 은(殷)나라 마지막 30대 주왕(紂王) 때 주왕의 백부이신 기자(箕子)에 대하여
▣ 나라 없는 일제괴광기(日帝怪狂期) 때 3.1독립혁명(운동)과 유관순(柳寬順)에 대하여
▣ 3.1독립혁명(운동) 때 제암리교회 사건=제암리삼일운동순국유적에 대하여
▣ 일제괴광기(일제강점기)이며 임시정부(臨時政府) 때 이상룡과 임청각(臨淸閣)에 대하여
▣ 조선 멸망 후 방정환(方定煥)선생님의 어린이날(兒)에 대하여
▣ 일제괴광기(日帝怪狂期) 때와 임시정부(臨時政府) 때 하회별신굿탈놀이에 대하여
▣ 일제괴광기(日帝怪狂期) 때와 임시정부(臨時政府) 때 백범(白凡) 김구(金九)에 대하여
▣ 임시정부(臨時政府) 때 독립운동가(獨立運動家) 이봉창(李奉昌)에 대하여
▣ 임시정부(臨時政府) 때 독립운동가 매헌(梅軒) 윤봉길(尹奉吉) 의사(義士)에 대하여
▣ 상해사변과 종군 성만행=강제정신대와 윤봉길 의사의 도시락 폭탄사건에 대하여
▣ 일제괴광기(日帝怪狂期) 성만행부대=강제위안부에 대하여
▣ 일제괴광기 31년과 임시정부 22년 때 창씨개명거부운동(創氏改名拒否運動)에 대하여
▣ 창씨개명거부운동 전후의 우리의 역사와 세계정세의 역사에 대하여
▣ 우리나라의 훌륭한 역사를 보관하고 있는 사고(史庫) 즉 오사고지(五史庫地)에 대하여
▣ 조선의 멸망원인에 대하여
▣ 앞으로 우리농사를 짓는 것과 우리가 나아갈 과제에 대하여
19. 유혹(誘惑) 모략(謀略) 간계(奸計) 음모(陰謀)와 전쟁(戰爭)에 대하여
▣ 강태공의 육도삼략(六韜三略)의 문벌(文伐)에 대하여
▣ 박보장기(博?將棋=博譜將棋)에 대하여 한마디
마치며
참고문헌